2025 | |
---|---|
08.21~22 | 2025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67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The Future of Life Sciences in AI Era-부산 그랜드모먼트) |
2024 | |
08.08~09 | 2024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 66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Molecular Symphony: Unraveling Energy Metabolism, Gene Networks, and Oncogenic Microenvironments-경주 더케이호텔) |
2023 | |
10.05~06 | 2023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 65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Natural Products Based Life Sciences for Healthy Pleasure-산청한방가족호텔) |
2022 | |
08.11~12 | 2022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 64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The Next-generation of Life Sciences for Net-zero Future-경주 더케이호텔) |
2021 | |
08.12~13 | 2021년도 한국생명과학회 30주년 기념, 제 63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Old Concept Meets New Technology in Life Science - 동의대학교(온라인 학술대회 실시간 중계)) http://www.ksls30.or..kr |
2020 | |
08.06~07 | 2020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 62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Regional Health Industry & Longevity Medicin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경주 더케이호텔) |
2019 | |
08.13~14 | 2019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 61회 정기총회-유전의학융합회 제2회 정기총회 및 공동국제학술대회 (Life Science & Genetic Medicine: From Bench to Clinic-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 3층) |
2018 | |
11.30 | 제 60회 학술심포지엄(치매예방•치료 심포지엄-대한민국헌정회 회의실) |
08.09~10 | 제 59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Life Science Innovation, Now and Future: BioHealth & 4th Industrial Revolution-경주 더케이호텔) |
2017 | |
08.03~04 | 제 58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New Era of Biotechnology to 4th Industrial Revolution-경주 더케이호텔) |
2016 | |
08.22~23 | 제 57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New challenges in the Post-Genomic Era-경주 더케이호텔) |
2015 | |
08.27~28 | 제 56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Current Approaches and Future Tasks of Anti-aging & Life Sciences-창원 컨벤션센터) |
2014 | |
08.28~29 | 제 55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Diversity and Convergence of Life Science-부산 Arpina) |
2013 | |
10.17~18 | 제 54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Nature's Mighty Resources-LIG 인재니움 사천) |
2012 | |
10.25~26 | 제 53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Emerging Topics in Life Science-경북대학교 글로벌프라자) |
2011 | |
10.27~28 | 2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New Trends and Advances in Life Science-부산 BEXCO) |
09. | 학회 홈페이지 및 영문논문투고시스템 새로 구축 |
2010 | |
10.21~22 | 제51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Green Biotechnology for Human Life and Health-진주산업대학교)) |
09.10 | 2010 하계 학술심포지움 및 워크샵 (Neutraceuticals and Green Biotechnology-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
2009 | |
10.15~16 | 제 50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부산 BEXCO) |
2008 | |
10.10~11 | 제 49회 학술심포지움 및 국제학술대회 (한남대학교 대덕밸리 캠퍼스) |
2007 | |
10.05~06 | 제 48회 학술심포지움 및 추계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생명과학과 버섯산업의 현재와 미래-조선대학교) |
01. | 생명과학회지 년 7회에서 12회로 증회 발행 |
2006 | |
09.28~29 | 제 47회 학술심포지움, 추계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생명과학의 현재와 미래-경북대학교) |
04.28~29 | 제 46회 학술심포지움 및 춘계학술대회 (생명과학의 최근 연구동향-창원대학교) |
02. | 생명과학회지 년 6회에서 7회로 증회 발행 |
2005 | |
09.30~10.01 | 제 45회 추계학술심포지움 (마린바이오 산업의 연구동향과 전망) |
04.08~09 | 제 44회 춘계국제학술심포지움 (미래를 위한 생명과학의 혁신) |
2004 | |
10.08 | 제 43회 추계국제학술심포지움 (생명과학의 도전) |
06.04 | 제 42회 학술심포지움 (Well-being시대의 우유와 유제품의 건강 기능성) |
05.01 | 제 41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생명과학의 새로운 도약) |
2003 | |
10.10 | 제 40회 국제학술심포지움 및 추계학술발표대회 (21세기 생명과학의 비젼) |
05.23 | 제 39회 학술심포지움 (최신 분자생명공학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
2002 | |
12.06 | 제 38회 학술심포지움 (세포의 생화학적 연구와 전망) |
09.28 | 제 37회 국제학술심포지움 및 추계학술발표대회 (배양공학과 그 응용) |
05.31 | 제36회 학술심포지움 (최신 생명공학 기술의 개발동향) |
03.29 | 제 35회 학술심포지움 및 춘계학술대회 (바이오 산업의 동향과 전망) |
2001 | |
11.30 | 제 34회 학술심포지움 (식품생명공학의 발전) |
09.14 | 제 33회 국제학술심포지움 (10주년 기념) 및 정기총회(21세기 생명과학의 비젼 ) |
06.08 | 제 32회 학술심포지움 (콩의 생리활성 기능과 생명과학) |
02.20 | 제 31회 학술심포지움 (기능성물질과 생물산업) |
2000 | |
12.08 | 제 30회 학술심포지움 (바이러스학의 최근 연구현황과 발전방향) |
09.23 | 제 29회 국제학술심포지움,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생명과학과 생명공학의 새로운 접근) |
06.23 | 제 28회 학술심포지움 (유전체의 연구동향과 발전전망) |
03.03 | 제 27회 학술심포지움 및 춘계학술대회 (천연물 신약개발 연구와 발전전망) |
01. | 제 5대 신임회장단 및 임원진 출범, 생명과학회지를 A4 형으로 출판 |
1999 | |
12.10 | 제 26회 학술심포지움 |
10.01 | 제 25회 학술심포지움 및 추계학술대회 |
06.11 | 제 24회 학술심포지움 (국제치매 심포지움) |
03. | 제 23회 학술심포지움 |
1998 | |
11.28 | 제 22회 한일국제환경호르몬 학술심포지움 |
10. | 영문지 Journal of life science 창간호 발행 제8권 1호로 발간하여 연 2회 발간(4월과 10월) ISSN 1229-1552 |
09.26 | 제 20회 학술심포지움,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06.12 | 학술심포지움 (유제품의 생명과학적 approach) |
03.21 | 제 19회 학술심포지움 및 춘계학술대회 |
02. | 생명과학회지 년 4회에서 6회로 증회 발행 |
1997 | |
11.27 |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회원가입(과총 제97-7호) |
08.22 | 제 18회 학술심포지움,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제 4대 신임 회장단 및 임원선임 |
1996 | |
09. | 제 17차 학술심포지움 |
02. | 제 16차 학술심포지움 및 정기총회 |
1995 | |
12. | 제 15차 학술심포지움 |
08.25 | 제 14차 학술심포지움 및 정기총회 제 3대 신임회장단 및 임원선임 학회발행 학술지명을 제6권 1호(1996년 3월 발행분)부터 생명과학회지(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로, 학회명칭을 "한국생명과학회"로 변경함 |
02.25 | 제 13차 학술심포지움 |
1994 | |
11.04 | 1995년 2월호부터는 원저(original) 논문을 게재하기로 결정하고 편집규정을 정하기로 함. 학회지 명칭은 생명과학회지(Journal of Life Science)로, 학회명칭은 부산생명과학회(영문은 변경없음)로 변경키로 함 |
10.08 | 제 12차 학술심포지움 |
06. | 제 11차 학술심포지움 |
02. | 제 10차 학술심포지움 및 정기총회 |
1993 | |
12. | 제 9차 학술심포지움 |
09.03 | 제 8차 학술심포지움(창립2주년기념) 및 정기총회 제 2대 신임 회장담 및 임원선임 |
04.19 | 제 7차 학술심포지움 |
1992 | |
12.11 | 제 6차 학술심포지움 |
08.21 | 제 5차 학술심포지움 (부산생명과학연구회 창립 1주년기념 심포지움) |
05.23 | 제 4차 학술심포지움 |
02.28 | 제 3차 학술심포지움 및 정기총회 |
1991 | |
12.07 | 제 2차 학술 심포지움 및 정기총회 |
11. | 부산생명과학연구회(Pusan Life Science Society) 발행잡지 생명과학(Life Science) 창간호 발행 (년4회 발행) |
08.24 | 창립총회 및 창립 기념특별 강연회 개최(부산대 인덕 기념관) 참석자 150여명, 창립회원들의 의견수렴과 연구회 회칙 인준 회장단 및 감사 선출 [회장 최홍식 교수, 부회장 이원재 교수(수산대), 박병채 교수(고신대), 김영길 교수(동아대), 감사 김무남 교수(부산여대), 이무강 교수(경성대)] |
08.21 | 제 2차 창립발기 준비위원회 개최 |
08.21 | 회장단 후보선출 전형위원회(가칭)개최 회장, 부회장 및 감사 후보선출 |
08.16 | 창립총회 및 기념 특별강연회 초청장 발송 |
08.12 | 제 1차 창립발기 준비위원회 개최 준비위원회의 확정 및 준비위원장(최홍식 교수)및 간사(전홍기 교수)를 선임, 연구회 명칭을 '부산생명과학연구회'로 확정 |
07.30 | 제 3차 창립발기 간담회 개최 발기취지문, 회칙안 검토 및 창립준비위원의 구성, 연구회 발기인단 및 입회자명단 검토 |
06.21 | 제 2차 창립발기 간담회 개최송 연구회의 성격, 목적 사업내용 등의 제반사항을 토의하고 발기취지, 정관, 명칭에 대한 협의 |
04.27 | 제 1차 창립발기 간담회 부산지역 및 그 인접지역에서 생명과학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의 모임인 연구회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연구회의 창립을 결의하고 추진위원장에 최홍식 교수를 선임(부산대 식품영양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