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시 | 2023년 10월 5일 (목) - 2023년 10월 6일 (금) |
---|---|
2. 장소 | 경남산청한방가족호텔 |
3. 내용 |
2023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65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일 시: 2023년 10월 5일(목)~10월 6일(금) 장 소: 경남산청한방가족호텔 |
4. 별첨 |
1. 초록예문 2. 초록집(2023) |
학술행사명 | 일시 | 장소 |
---|---|---|
2023년도 한국생명과학회 제65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 2023-10-05 ~ 2023-10-06 | 경남산청한방가족호텔 |
(사)한국생명과학회 강호영 회장
2023 산청세계전통의약항노화엑스포에서 개최되는 (사)한국생명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사)한국생명과학회(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KSLS)는 1991년 창립된 이래 생화학, 분자생물학, 식품과학, 미생물학, 생리활성물질, 바이오·의과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를 수행 중인 연구자들의 연구동향 및 학술활동 정보를 교류하는 가교 역할을 담당하며, 생명과학의 발전에 기여해오고 있습니다.
웰빙, 건강, 항노화 등과 관련된 생명과학 연구가 최근에 대세를 이루고 있고, 그 연구 과정에 한약재를 포함한 천연물들이 연구 재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기에 금번 국제학술대회의 주제를 “Natural Products Based Life Sciences for Healthy Pleasure(헬시플레저를 위한 천연물 기반의 생명과학)”로 정하였습니다. 마침 동의보감촌에서 “2023 산청세계전통의약항노화엑스포”의 개최가 예정되어 있으며, 엑스포 기간에 맞추어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생명과학회 소속 연구자들과 이 분야에 관련된 산업체 및 관심 있는 일반 관람객들이 엑스포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를 통해 상호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천연물 기반 생명과학연구의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건강한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사회 구축의 기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Sancheong Korean Medicine Family Hotel
2023. 10. 05.(Thu) | |||||
---|---|---|---|---|---|
Seminar Room 1 | Wangsan Hall | Seminar Room 2,3 | Wangsan Hall | ||
10:00~20:30 | Registration (Lobby) | POSTER SESSION 1 Posting (10:00~13:50) Presentation (13:30~13:50) |
|||
10:00~12:00 |
좌장: 문기환(한국해양대) 김기영(제주대) 허효진(아주대) 소피아(성균관대) 벨라(동국대) 강지윤(대전대) 석혜연(부산대) 박범수(부산대) 윤호영(경상국립대) 황승주(대전대) |
좌장: 문용환(부산대) 박창수(대구가톨릭대) 윤용준(한국해양대) 박정우(한국해양대) 차나카 자유싱하(제주대) 위스루무니 아라치칠라게(제주대) 이윤주(부산대) 한준혁(건국대) Farooq Muhammae(경북대) 조현동(순천대) 야스민악타문니(동국대) |
좌장: 송창우(안전성평가연구소) 전종록(경상국립대) 미리사 헤와게(제주대) 소바라트네 세넬산자야(제주대) 김상진(대구가톨릭대) 김은경(경북대) 송보림(경북대) 김소희(선문대) 박하영(선문대) 최호진(동국대) |
||
Wangsan Hall | |||||
12:00~13:00 | Lunch | ||||
13:00~13:30 |
Best Research Award Lecture
좌장: 강호영(부산대)
정경태(동의대) Chaperones and Their Friends Make Protein World Go on |
||||
13:30~13:50 | POSTER Presentation & Evaluation 1 | ||||
Seminar Room 1 | Wangsan Hall | Seminar Room 2,3 | POSTER SESSION 2 Posting (13:50~16:10) Presentation (15:50~16:10) |
||
13:50~14:30 |
생화학 분자생물학 연구를 위한 천연물 활용 (Application of Natural Product for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배재호(부산대) 황성민(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심재원(고신대) 최영현(동의대) 오창규(부산대) |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안숙희(충남대) |
표적중심 생리활성물질 (Target-centered Bioactive Materials) 조민경(동국대) 명창선(충남대) 정수진(한국한의학연구원) 김영우(동국대) 김상현(경북대) |
||
14:30~15:10 |
바이오헬스 취업창업의 첨병: 지적재산권 확보 윤혜진(한국특허전략개발원) |
||||
15:10~15:50 |
바이오헬스 취업창업을 위한 지적재산권 확보전략 김정목((주)티비즈) |
||||
Wangsan Hall | |||||
15:50~16:10 | POSTER Presentation & Evaluation 2 | ||||
Seminar Room 1 | Seminar Room 2,3 | ||||
16:10~16:50 |
박건영(차의과대) Health Benefits of Kimchi as a Probiotic Food |
지재훈(UTHSCSA, USA) Cross-talk Between R-loops and TOP1 Cleavage Complex |
|||
16:50~17:00 | Coffee Break | ||||
17:00~17:40 |
이영훈(KB코스메틱) |
좌장: 정경태(동의대)
김남수(KRIBB)
|
|||
Wangsan Hall | |||||
18:00~20:30 | Welcome Banquet 사회: 전용재(부경대) |
2023. 10. 06.(Fri) | |||||
---|---|---|---|---|---|
08:40~12:30 | Registration | ||||
Seminar Room 1 | Wangsan Hall | Seminar Room 2,3 | |||
09:00~11:00 |
미생물을 넘어: 인간 건강 개선 (Beyond Microbes: Improving Human Health) 황지환(부산-880;) 김동현(경북대) 손보경(동아대) 천병희(부경대) 손문일(부산대) |
Special Lecture
좌장: 김미향(신라대)
김현수(경상국립대) 엄성환(동의대) 김상헌(Yale Univ., USA) |
생물의학연구의 최근 발전: 건강과 질병에 대한 영향(Recent Advances in Biomedical Research: Implications for Health and Disease) 김태진(부산대) 송권호(대구가톨릭대) 최장기(한국한의학연구원) 김완태(충남대) 양진영(부산대) |
||
11:00~11:10 | Coffee Break | ||||
Wangsan Hall | |||||
11:10~12:00 | General Assembly and Closing Ceremony 시상식 및 총회 사회: 공창숙(신라대) |
일 자 | 구 분 | 장 소 | 시 간 | 내 용 | 비 고 |
---|---|---|---|---|---|
10월 5일 (1일 차) |
등록 | Hall | 10:00~18:00 | 등록 및 안내 | |
젊은 과학자 1 발표 (Young Scientist 1) 좌장 1 : 문기환 (한국해양대/교수) / 좌장 2: 김기영 (제주대/교수) |
|||||
젊은과학자 1-1 | Seminar Room 1 | 10:00~10:12 | 플라즈마 코팅 엑소좀 유사체를 활용한 새로운 약물전달의 암 치료법 | 허효진 (아주대) | |
젊은과학자 1-2 | 10:12~10:24 | 피부 재생를 위한 Calcium condensate 의존성 CaMKKβ-AMPK-ULK axis 자가포식 유도 메커니즘 규명 및 | 소피아 Sofia Brito (성균관대) | ||
이를 활용한 삼투압패치 개발 | |||||
젊은과학자 1-3 | 10:24~10:36 | SPPARM로서의 ONGLYZA® 효능 연구 | 벨라(동국대) | ||
젊은과학자 1-4 | 10:36 ~10:48 | 호박 (琥珀) 추출물의 뇌미세아교세포 유래 신경염증 및 우울 유상 행동 개선 효과 | 강지윤(대전대) | ||
Break time | |||||
젊은과학자 1-5 | 11:00~11:12 | 애기장대에서 HAT22/ABIG1에 의한 AtERF71/HRE2의 전사 억제에 대한 연구 | 석혜연(부산대) | ||
젊은과학자 1-6 | 11:12~11:24 | ARPE-19 세포에서 금잔화는 반응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여 미세먼지 2.5로 유도된 상피-중간엽 전이를 방지함 | 박범수(부산대) | ||
젊은과학자 1-7 | 11:24~11:36 | 수산화인회석 기반의 차세대 비료 개발을 위한 천연 유기물 도입 및 표면 개질 전략 | 윤호영(경상국립대) | ||
젊은과학자 1-8 | 11:36~11:48 | 락토바실러스 카제이로 발효한 한약물 사인과 비발효 사인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및 비교 | 황승주(대전대) | ||
식전행사 | Hall | 10:00~18:00 | 등록 및 안내 | ||
젊은 과학자 2 발표 (Young Scientist 2) 좌장 3 : 문용환 (부산대/교수) / 좌장 4: 박창수 (대구가톨릭대/교수) |
|||||
젊은과학자 2-1 | Wangsan Hall | 10:00~10:12 | 금붕어 모델을 이용한 미세플라스틱이 어류의 아가미 및 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윤용준(한국해양대) | |
젊은과학자 2-2 | 10:12~10:24 | 다제약재내성균 Acinetobacter baumannii 제어를 위한 염생식물 유래 생리활성 물질 발굴 | 박정우(한국해양대) | ||
젊은과학자 2-3 | 10:24~10:36 | Flavanone 배당체, Sakuranin은 NF-κB-TLR-4 축을 통한 LPS 유발 염증 약화 | 차나카 자유싱하 Jayasingha Arachchige Chathuranga Chanaka Jayasingha (제주대) | ||
젊은과학자 2-4 | 10:36 ~10:48 | 비스페놀 A는 TLR4/MD2 매개 NF-kB 신호 경로를 통한 면역 독성 및 내독소혈증 유도 | 위스루무니 아라치칠라게 Wisurumuni Arachchilage Hasitha Maduranga Karunarathne (제주대) | ||
Break time | |||||
젊은과학자 2-5 | 11:00~11:12 |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에 감염된 넙치에서 miR-15b-5p에 의한 SOCS6 발현 조절 | 이윤주(부산대) | ||
젊은과학자 2-6 | 11:12~11:24 | 신경조직 손상에서 단백질 SC의 신규 역할 규명 및 표적 기반 융합 연구 | 한준혁(건국대) | ||
젊은과학자 2-7 | 11:24~11:36 | 쌀의 유전자형 변화에 따른 지베렐린의 염도효과 완화에 관한 연구 | 무하마드 파루크Farooq Muhammad (경북대) | ||
젊은과학자 2-8 | 11:36~11:48 | VEGFR2 수송억제를 통한 병리학적 혈관 투과성의 조절 | 조현동(순천대) | ||
젊은과학자 2-9 | 11:48~12:00 | 전산 유도 시험관 분석에 기반한 신경 및 시냅스 발생에 대한 Coriandrum sativum의 기전 연구 | 야스민악타문니Yeasmin Akter Munni (동국대) | ||
등록 | Hall | 10:00~18:00 | 등록 및 안내 | ||
젊은 과학자 3 발표 (Young Scientist 3) 좌장 5 : 송창우(안전성평가연구소/책임연구원) / 좌장 6: 전종록(경상국립대/교수) |
|||||
젊은과학자 3-1 | Seminar Room 2,3 | 10:00~10:12 | 2,4'-Dihydroxybenzophenone은 RAW 264.7 대식세포와 제브라피쉬 유충에서 LPS로 유도된 | 미리사 해와게 | |
mtROS 생성 억제, 항염증 활성 | Mirissa Hewage Dumindu Kavinda (제주대) | ||||
젊은과학자 3-2 | 10:12~10:24 | Tagetes erecta L의 폴리페놀이 풍부한 분획. B16F10 세포와 제브라피시 유충에서 α-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성 감소 | 소바라트네 세넬산자야 | ||
Sobarathne Senel Sanjaya (제주대) | |||||
젊은과학자 3-3 | 10:24~10:36 | D-allulose 로부터 D-allose 생산을 위한 Paenibacillus baekrokdamisoli 유래 재조합 L-rhamnose isomerase 의 특성 규명 | 김상진 (대구가톨릭대) | ||
젊은과학자 3-4 | 10:36 ~10:48 | 벼 육종 및 기능 유전체학을 위한 CRISPR/Cas9의 발전 | 김은경(경북대) | ||
Break time | |||||
젊은과학자 3-5 | 11:00~11:12 | 타르펜이 풍부한 코끼리사과나무 추출물의 인슐린저항성 유도 C2C12세포 및 STZ 유도 당뇨병 마우스의 산화 스트레스 감소 | 송보림(경북대) | ||
젊은과학자 3-6 | 11:12~11:24 | 오렌지박 유래 세포외 소포체의 콜라겐 합성 증진을 통한 피부 재생에 미치는 영향 | 김소희(선문대) | ||
젊은과학자 3-7 | 11:24~11:36 | 작두콩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전구세포의 AMPK 활성화를 통한 지방생성 억제 효과 | 박하영(선문대) | ||
젊은과학자 3-8 | 11:36~11:48 | 세포 이동 중 Nucleokinesis에 대한 NAGK-Lis1-NDEL1 상호 작용의 기능 | 최호진(동국대) | ||
점심 | 12:00~13:00 | 점심 | |||
학술 대상 강연 발표 / 좌장 7 : 강호영(부산대/교수) | |||||
학술 대상 강연 | Wangsan Hall | 13:00~13:30 | 샤페론과 그 친구들에 의한 단백질 질서 유지 | 정경태(동의대) | |
포스터 세션 1 / 부착(10:00~13:50) / 발표(13:30~13:50) | |||||
포스터 발표 1 | Wangsan Hall | 13:30 ~ 13:50 | 포스터 발표 및 평가 1 | ||
워크숍 발표 생명윤리와 지적재산권의 역할 : 기초부터 응용연구까지 (Role of Bioethic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om Bench to Bedside) | |||||
워크숍 1 발표 / 좌장 8 : 권오유(충남대/교수) | |||||
워크숍1 | Wangsan Hall | 13:50~ 14:30 |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 안숙희(충남대) | |
워크숍 2 발표 / 좌장 9 : 서권일(동아대/교수) | |||||
워크숍2 | Wangsan Hall | 14:30~ 15:10 | 바이오헬스 취업창업의 첨병: 지적재산권 확보 | 윤혜진 (한국특허전략개발원) | |
워크숍 3 발표 / 좌장 10 : 손호용(안동대/교수) | |||||
워크숍3 | Wangsan Hall | 15:10~ 15:50 | 바이오헬스 취업창업을 위한 지적재산권 확보전략 | 김정목((주)티비즈) | |
13:40~ 13:50 | Break time | ||||
심포지엄 1 발표 생화학 분자생물학 연구를 위한 천연물 활용 (Application of Natural Product for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좌장 11 : 예성수(인제대/교수) / 좌장 12 : 배재호(부산대/교수) |
|||||
심포지엄1-1 | Seminar Room 1 | 13:50~14:20 | 생물정보학을 통한 미생물 및 대사경로 연구 | 황성민 | |
심포지엄1-2 | (호남권생물자원관) | ||||
14:20~14:50 | Orphan 후각수용체의 천연물 리간드 발굴을 위한 새로운 시도 | 심재원(고신대) | |||
심포지엄1-3 | 14:50~15:20 | Spermidine의 미세먼지로 인한 안구 손상 차단 효과 | 최영현(동의대) | ||
심포지엄1-4 | 15:20~15:50 | 제브라피시를 이용한 나노파티클 독성 평가 시스템 | 오창규(부산대) | ||
Break time | |||||
심포지엄 2 발표 표적중심 생리활성물질 (Target-centered bioactive materials) 좌장 좌장 13 : 문일수(동국대/교수) / 좌장 14 : 조민경(동국대/교수) |
|||||
심포지엄2-1 | Seminar Room 2,3 | 13:50~ 14:20 | 천연물 자원의 다양한 약리학적 작용 | 명창선(충남대) | |
심포지엄2-2 | 14:20~14:50 | 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의 인지기능개선 연구 | 정수진 | ||
(한국한의학연구원) | |||||
심포지엄2-3 | 14:50~15:20 |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한약제제 연구 | 김영우(동국대) | ||
심포지엄2-4 | 15:20~15:50 | 아토피피부염의 신규 타겟 및 치료제 개발 | 김상현(경북대) | ||
16:40~16:50 | Break time | ||||
포스터 세션 2 / 부착(13:50~16:10) / 발표(15:50~16:10) | |||||
포스터 발표 2 | Wangsan Hall | 15:50~16:10 | 포스터 발표 및 평가 2 | ||
기조 강연1 발표 / 좌장 15 : 전용재(부경대/교수) | |||||
기조 강연1 | Seminar Room 1 | 16:10~16:50 | 기조 강연 1 | 박건영 (차의과대) | |
16:50~17:00 | Break time | ||||
기조 강연 2 발표 / 좌장 16 : 안순철(부산대/교수) | |||||
기조 강연2 | Seminar Room 2,3 | 16:10~ 16:50 | R-loop과 TOP1 절단 복합체의 상호작용 | 지재훈 (UTHSCSA, USA) | |
16:50~17:00 | Break time | ||||
특별 강연 발표 / 좌장 18 : 이상원(경상국립대/교수) | |||||
특별 강연 | Seminar Room 1 | 17:00~ 17:40 | 항노화산업과 기능성화장품 | 이영훈 (KB코스메틱) | |
워크샵 4 / 좌장 18 : 정경태(동의대/교수) | |||||
워크샵4 | Seminar Room 2,3 | 17:00~ 17:40 | 한국에서의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 체계 | 김남수 (KRIBB) | |
환영 만찬 | |||||
만찬 | Wangsan Hall | 18:00~ 20:30 | 내빈소개, 축사, 환영사, 건배사 등 | 전용재(부경대) |
일 자 | 구 분 | 장 소 | 시 간 | 내 용 | 비 고 |
---|---|---|---|---|---|
10월 6일 (2일 차) |
등록 | Hall | 08:40~ 11:10 | 등록 및 안내 | |
특강 발표 Healthy Pleasure / 좌장 19 : 김미향(신라대/교수) | |||||
특강-1 | Wangsan Hall | 09:00~09:30 | 해조류 유래 알긴산의 미세먼지 유도 폐 세포 염증 반응 억제 | 김현수(경상국립대) | |
특강-2 | 09:30~10:00 | 갈조류 유래 플로로탄닌의 항균, 항당뇨, 항티로시나제 효능 | 엄성환(동의대) | ||
특강-3 | 10:00~10:30 | MAVS 의존성 폐질환에서 PINK1의 MAVS 응집억제를 통한 신호조절 | 김상헌(예일대, 미국) | ||
Break time | |||||
심포지엄 3 발표 미생물을 넘어: 인간 건강 개선 (Beyond Microbes: Improving Human Health) 좌장 21 : 남주옥(경북대/교수) / 좌장 22 : 황지환(부산대/교수) |
|||||
심포지엄 3-1 | Seminar Room 1 | 09:00~09:30 | 생물공학을 통한 해조류로부터 기능성 고부가가치 소재들 생산 | 김동현(경북대) | |
심포지엄 3-2 | 09:30~10:00 | 박테리오파지 T4 MotB와 GoF: 새로운 방식으로 숙주 세균을 탈취하는 박테리오파지 유래의 단백질 | 손보경(동아대) | ||
심포지엄 3-3 | 10:00~10:30 | 한국 전통 콩 발효식품인 간장과 된장의 미생물과 대사특성 | 천병희(부경대) | ||
심포지엄 3-4 | 10:30~11:00 | 미생물 프리온: 최대다수 안의 최소 | 손문일(부산대) | ||
11:00~11:10 | Break time | ||||
심포지엄 4 발표 생물의학연구의 최근 발전: 건강과 질병에 대한 영향 (Recent Advances in Biomedical Research: Implications for Health and Disease) 좌장 23 : 정남호(대구가톨릭대/교수) 좌장 24 : 김태진(부산대/교수) |
|||||
심포지엄 4-1 | Seminar Room 2,3 | 09:00~09:30 | 면역 불응성 종양 세포에서 autophagy 관련 경로의 역할 | 송권호 (대구가톨릭대) | |
심포지엄 4-2 | 09:30~10:00 | 포도나무 줄기 유래 Vitisin B의 뉴라미니데이즈 및 바이러스 유도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 | 최장기 (한국한의학연구원) | ||
심포지엄 4-3 | 10:00~10:30 | TOX 기능 및 규정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 | 김완태(충남대) | ||
심포지엄 4-4 | 10:30~11:00 | 장 염증 환경에서 진피의 보호적 역할 연구 | 양진영(부산대) | ||
11:00~11:10 | Break time | ||||
총회 및 폐회사 | |||||
총회 및 폐회사 | Wangsan Hall | 11:10~12:00 | 인사말, 총회, 기념촬영, 폐회사 | 공창숙(신라대) |
▶ 10월 06일 General Assembly and Closing Ceremony
사회자 | 프로필 | |
---|---|---|
![]() 공창숙 |
주요 경력 | 현)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해양식의약융합소재연구소 소장 |
동경수산대학 대학원 수산학박사 역임 | ||
North Carolina State Univ. 식품과학과 Post-Doc 역임 | ||
연구 분야 | 건강기능성소재개발(비만 및 화장품소재) | |
생리활성연구(비만, 암전이, 미백주름) | ||
기능성 어묵 개발 |
▶ 10월 05일 Best Research Award Lecture
좌장 | 프로필 | |
---|---|---|
![]() 강호영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 2023년 한국생명과학회 회장 |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장 역임 | ||
미국 아리조나주립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 ||
연구 분야 | 살모넬라 병원체의 병원성 유발 메카니즘 연구 | |
어류병원체의 병원성 유발 메카니즘 연구 | ||
백신개발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정경태 |
주요 경력 | 현) 동의대학교 의료보건대학 임상병리학과 교수 |
현) 동의대학교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대학사업단 단장 | ||
미국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교환교수 | ||
연구 분야 | 유전자를 이용한 분자진단 연구 | |
면역노화 연구 | ||
천연물 기능성 연구 |
▶ 10월 05일 Symposium 1 Application of Natural Product for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생화학 분자생물학 연구를 위한 천연물 활용
좌장 | 프로필 | |
---|---|---|
![]() 예성수 |
주요 경력 | 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주임교수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성시험평가 전문위원 역임 | ||
환경부 내분비계장애물질 전문위원 역임 | ||
연구 분야 | 세포 신호전달 연구 | |
면역 조절 연구 | ||
생리활성물질 연구 (항암, 항산화) | ||
![]() 배재호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교수/의예과장 |
식품의약품안전처 심의위원 | ||
미국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병원(HMS/MGH) 연수 | ||
연구 분야 | 암생물학 | |
유전자 발현조절 연구 | ||
자연살상세포 매개 항암면역반응 연구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황성민 |
주요 경력 | 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전임연구원 |
University of Florida 미생물학과 박사박위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및 Duke Univ. 박사후연구원 연수 | ||
연구 분야 | 미생물 생리 대사 및 조절 기작 연구 | |
기능성 바이오소재 생산 공정 개발 | ||
생리활성물질 탐색 및 활용 연구 | ||
![]() 심재원 |
주요 경력 | 현)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조교수 |
전) 한국식품연구원 선임연구원 | ||
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조교수 | ||
연구 분야 | 말초신경에서 감각의 통합과정 연구 | |
비감각조직에서 후각수용체의 기능 연구 | ||
고아후각수용체의 신규 리간드 발굴 연구 | ||
![]() 최영현 |
주요 경력 | 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항노화연구소 소장 |
미국 국립암연구소(NCI/NIH) 및 Georgetown 의과대학 연구원 |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
연구 분야 | 세포사멸 조절 관련 신호전달 기전 연구 | |
항노화 소재의 발굴 및 기능성 규명 연구 | ||
환경성 유해인자의 병리 기전 및 방호 물질 발굴 | ||
![]() 오창규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조교수 |
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조교수 | ||
전)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항상성연구단 연구위원 | ||
연구 분야 | 초기 배아 발생과 적혈구 발생 | |
금속 기반 나노파티클의 독성 기전 | ||
백혈병 관련 유전자와 조혈모세포 발생과의 연관성 |
▶ 10월 05일 Symposium 2 Target-centered bioactive materials
표적중심 생리활성물질
좌장 | 프로필 | |
---|---|---|
![]() 문일수 |
주요 경력 | 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해부학교수 |
제19대(2020년) 한국생명과학회 회장 | ||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장 | ||
연구 분야 | 치매예방천연물질 발굴 | |
뇌기능개선 천연물질 발굴 | ||
퇴행성뇌질환의 신경과학 연구 | ||
![]() 조민경 |
주요 경력 | 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약리학 교수 |
UCSD 의과대학 교환 교수 |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Post-Doc | ||
연구 분야 | 천연물 기반 약리활성 물질 발굴 연구 | |
발효기술 접목한 생리활성 물질 연구 | ||
대사성질환 제어용 약리표적발굴과 신호전달체계 연구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명창선 |
주요 경력 | 현)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2023 대한약리학회 회장 |
충남대학교 약학대학장, 의약품개발연구소장, 약초원장 | ||
한국약학교육평가원 이사, 한국약학교육협의회 이사 | ||
연구 분야 | 죽상동맥경화증 신규 치료표적 연구(CIAPIN1) | |
비만과 당뇨에서 신규 치료표적 연구(GPR41) | ||
천연물-유래 소재의 질병치료 평가 및 기전 연구 | ||
![]() 정수진 |
주요 경력 | 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센터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연구교수 | ||
미국 NIH,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
연구 분야 | 한의약 기반 치매치료제 발굴 및 작용기전 연구 | |
기억력·인지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소재 연구 | ||
한의이론 과학화 연구 | ||
![]() 김영우 |
주요 경력 | 현)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
Herbal Formula Science (방제학회지) 편집위원장 |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약정책과 과장 | ||
연구 분야 | 한약제제-합성의약품 상호작용 연구 | |
한약(생약)의 만성질환 치료 효능 및 기전 연구 | ||
한의학적 동반진단 바이오마커 및 의료기기 연구 | ||
![]() 김상현 |
주요 경력 | 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전) 한국연구재단 신약단장 | ||
전) 미국 보건복지부 National Toxicology Program, Project Officer | ||
연구 분야 | 아토피치료제 개발 | |
생리활성연구(피부알러지, 알레르기성 염증) | ||
의료용 나노물질개발 |
▶ 10월 06일 Symposium 3 T Beyond Microbes: Improving Human Health
미생물을 넘어: 인간 건강 개선
좌장 | 프로필 | |
---|---|---|
![]() 남주옥 |
주요 경력 | 현)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교수 |
UCSD Moores cancer center, 박사후 연구원 |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세포기질연구소 연구교수 | ||
연구 분야 | 천연물 기반 대사성 질환 식의약 소재 개발 | |
다양한 스트레스에 의한 근감소증 개선 효능 기전 규명 | ||
암미세환경 조절 인자 연구 | ||
![]() 황지환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 |
미시건 주립대학교, 연구원 | ||
뉴져지 주립대학교, 박사 | ||
연구 분야 | 라이보좀 어셈블리 | |
콜드 스트레스 리스판스 | ||
톡신-앤티톡신 시스템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김동현 |
주요 경력 | 현)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소재공학전공 조교수 |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박사후 연구원 | ||
고려대학교 식품생의학안전연구소, 연구교수 | ||
연구 분야 | 탄수화물 공학 | |
바이오매스 공학 | ||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 ||
![]() 손보경 |
주요 경력 | 현) 동아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조교수 |
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박사후연구원 | ||
CJ제일제당 BIO연구소 연구원 | ||
연구 분야 | 박테리오파지 기반 식중독균 제어 및 검출 기술 개발 연구 | |
박테리오파지 T4를 이용한 박테리오파지-숙주균 상호작용 연구 | ||
항생제 내성균 제어를 위한 신규 항균 전략 개발 연구 | ||
![]() 천병희 |
주요 경력 | 현) 국립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 |
연구 분야 | 다중 메타오믹스 기반 전통 발효식품 발효특성 구명 | |
전통 발효식품 발효 핵심 미생물 종균화 | ||
종균 활용 기능성 발효식품 제조 | ||
![]() 손문일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조교수 |
미국국립보건원 박사후 연구원 | ||
서울대학교 학사/석박사 | ||
연구 분야 | 미생물병리학 | |
프리온/아밀로이드 | ||
단백질항상성 |
▶ 10월 06일 Symposium 4 Recent Advances in Biomedical Research: Implications for Health and Disease
생물의학연구의 최근 발전: 건강과 질병에 대한 영향
좌장 | 프로필 | |
---|---|---|
![]() 정남호 |
주요 경력 |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바이오메디대학 제약공학과 교수 (2009. 09. ~ )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교수 (2008. 07 ~ 2009. 08) | ||
INDIANA University 의과대학 선임연구원 (1999. 07. ~ 2008. 6.) | ||
연구 분야 | 포도당, 지방, 단백질 대사조절 | |
대사성질환 조절자 | ||
mitochondria 기능 조절 | ||
![]() 김태진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 워싱턴대학교 Post-doc | ||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이학박사 | ||
연구 분야 | 유전자인코딩 바이오센서 개발 | |
세포이미징, 세포 기계적 신호전달 연구 | ||
HTS/HCS 약물스크리닝 기술 연구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송권호 |
주요 경력 |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세포생물학교실 조교수 (2020년 9월 ~)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교수 (2011년 9월 ~ 2020년 8월) | ||
연구 분야 | 항암면역치료 내성 | |
종양분자생물학 | ||
자가포식 | ||
![]() 최장기 |
주요 경력 | 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
2015.10~2017.12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선임연구원 | ||
2010.09~2015.10 Texas Tech University HSC 박사후연구원 | ||
연구 분야 | 한의약 기반 항바이러스제 개발 연구 | |
한의약 기반 면역질환 제어 소재 개발 | ||
천연물 및 한약소재를 이용한 의약품 및 기능성 소재 개발 | ||
![]() 김완태 |
주요 경력 | 현)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
미국국립보건원 박사후연구원 | ||
하바드 치과대학 박사후연구원 | ||
연구 분야 | 세포 신호 전달 (Wnt 및 Hippo pathway) | |
암생물학 (간암 및 대장암의 발생과 전이) | ||
상분리 (Nuclear body 및 특정 전사 인자 응집체 역할 연구) | ||
![]() 양진영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
미국 앰디앤더슨 암센터 Post-doc | ||
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 Post-doc | ||
연구 분야 | 병원균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 규명 연구 | |
인체 질환들과 밀접한 장내미생물 발굴 및 적용 | ||
염증성 장질환과 대장암의 신호전달 메커니즘 연구 |
▶ 10월 05일 Workshop1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좌장 | 프로필 | |
---|---|---|
![]() 권오유 |
주요 경력 | 현) 충남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
Univ. of Tokyo (Ph.D), Harvard Med. School (PostDoc) | ||
전 과기부 LMO 전문가심사위원회 위원, BioGreen 의약소재연구단장 | ||
연구 분야 | 소포체 질환 | |
근감소증 | ||
곤충활성물질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안숙희 |
주요 경력 | 현)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
현) 한국대학기관생명윤리위원회협회 회장 | ||
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회장 | ||
연구 분야 | 생명윤리 교육 | |
고위험임신 여성/가족의 부모기 적응 | ||
생식건강증진 |
▶ 10월 05일 Workshop2 바이오헬스 취업창업의 첨병: 지식재산권 확보
좌장 | 프로필 | |
---|---|---|
![]() 서권일 |
주요 경력 | 현) 동아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
순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교수 | ||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식품과학부 교환교수 | ||
연구 분야 | 기능성식품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윤혜진 |
주요 경력 | 현)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특허전략기획팀 전문위원(2011.01.~) |
한국특허정보원 조사분석2팀(화학생명팀) 그룹장(1998.04.~2006.11.) | ||
연구 분야 | 유전자 진단/항암제 동반진단(CDx) 기술에 대한 특허 전략 | |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특허 전략 |
▶ 10월 05일 Workshop3 바이오헬스 취업창업을 위한 지적재산권 확보전략
좌장 | 프로필 | |
---|---|---|
![]() 손호용 |
주요 경력 | 현) 국립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안동대학교 기획처장, 생활과학대학장 역임 | ||
Purdue Univ. Post-doc Research Associate | ||
연구 분야 | 효모의 대사진동 및 대사공학 | |
식품미생물의 발효 및 제어 | ||
천연 약용식물의 안정성, 효능 평가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김정목 |
주요 경력 | 현) (주)티비즈 대표이사 |
현) 티비즈특허법률사무소 대표 | ||
현) 한국지식재산보호원지원사업심판·소송심사위원 | ||
연구 분야 | 기술거래 | |
기업기술가치평가 | ||
기술사업화 |
▶ 10월 05일 Plenary Lecture 1
좌장 | 프로필 | |
---|---|---|
![]() 전용재 |
주요 경력 | 현)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 |
전)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
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 겸임교수 | ||
연구 분야 | 고부가가치 미생물 소재 탐색, 개발 및 활용 연구 | |
미생물활용 생물정화 기술연구 | ||
오믹스 기반 합성생물학 연구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박건영 |
주요 경력 | 현)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교수 |
차의과학대학교 생명과학대학장 및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 ||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
연구 분야 | 김치, 장류 등의 항암 및 항비만 효과 연구 | |
probiotics 와 postbiotics 연구 | ||
천일염 및 죽염의 건강기능성 연구 |
▶ 10월 05일 Plenary Lecture 2
좌장 | 프로필 | |
---|---|---|
![]() 안순철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교수 |
University of Texas 의과대학 방문교수 |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공학연구실 연구원/선임연구원 | ||
연구 분야 | 천연물의 미생물 발효 및 생물전환 | |
천연물의 생리활성 분석 및 유효 성분의 정제 | ||
항암 작용 기전 연구(lipid metabolism, apoptosis, autophagy)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지재훈 |
주요 경력 | UTHSCSA Department of Biochemistry and Structural Biology 조교수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유전체 불안정성제어 연구센터 조교수 |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간유전체연구실 연구원 | ||
연구 분야 | Chromatin Remodeling and Epigenetics in DNA Damage Response | |
Transcription Regulation by Epigenetic Codes | ||
E3 Ubiquitin Ligases and Functions in DDR |
▶ 10월 05일 Special Symposim 1
좌장 | 프로필 | |
---|---|---|
![]() 이상원 |
주요 경력 | 현) 경상국립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제약공학과 교수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장 및 학생처장 역임 | ||
일본 농림수산성 식품총합연구소 연구원 역임 | ||
연구 분야 | 식품미생물학 | |
기능성식품학 | ||
생물공학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이영훈 |
주요 경력 | 현) KB코스메틱 부사장 |
현) KB코스메틱 기업부설연구소 소장 | ||
전) 경남과학기술대학교(현 경상국립대학교) 강사 | ||
연구 분야 |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소재 연구, 개발 | |
기능성화장품 연구, 개발 | ||
의약외품 연구, 개발 |
▶ 10월 05일 Workshop 4
좌장 | 프로필 | |
---|---|---|
![]() 정경태 |
주요 경력 | 현) 동의대학교 의료보건대학 임상병리학과 교수 |
현) 동의대학교 바이오헬스 혁신융합대학사업단 단장 | ||
미국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교환교수 | ||
연구 분야 | 유전자를 이용한 분자진단 연구 | |
면역노화 연구 | ||
천연물 기능성 연구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김남수 |
주요 경력 | 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연구안전관리사업본부 연구원 |
충남대학교 대학원 농학박사 수료 | ||
연구 분야 | 시험·연구용 LMO 법·제도 개선 | |
시험·연구용 LMO 전문가심사위원회 운영 | ||
바이오위해평가 원팀 리노베이션 사업 지원 |
▶ 10월 05일 Welcome Banquet
사회자 | 프로필 | |
---|---|---|
![]() 전용재 |
주요 경력 | 현) 부경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 |
전)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
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교 겸임교수 | ||
연구 분야 | 고부가가치 미생물 소재 탐색, 개발 및 활용 연구 | |
미생물활용 생물정화 기술연구 | ||
오믹스 기반 합성생물학 연구 |
▶ 10월 06일 Special Lecture Healthy Pleasure
좌장 | 프로필 | |
---|---|---|
![]() 김미향 |
주요 경력 | 현)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
현) 사상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센터장 | ||
전) 일본, 오차노미즈대학교 객원 연구원 | ||
연구 분야 | 해양 및 육상 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연구 및 개발 | |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한 갱년기 예방 소재 연구 | ||
골 형성 및 분해 관련 소재 연구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김현수 |
주요 경력 | 현) 경상국립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조교수 |
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천연물자원실 근무 | ||
전) 제주대학교 Post-Doc 역임 | ||
연구 분야 | 해양생물 유래 식품소재 개발 연구 | |
해양생물 유래 고분자 소재 연구 | ||
해양생물 이용 생리활성 평가 및 성분 분리/정제 | ||
![]() 엄성환 |
주요 경력 | 현) 동의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수산물생산해역안전관리센터장 |
부경대학교 대학원 공학박사 역임 | ||
한국식품연구원 Post-Doc 역임 | ||
연구 분야 | 수산물 식품위생 | |
해양생물 생리활성연구 | ||
항균소재개발 | ||
![]() 김상헌 |
주요 경력 | 현) Yale School of Medicine, Associate Research Scientist |
Yale School of Medicine, Postdoc | ||
부산대학교 해양생물기술연구소, 연구교수 | ||
연구 분야 | 호흡기 질환 (pulmonary disease) 메커니즘 규명 | |
폐섬유증에 관한 중개 연구 및 치료 | ||
선천면역에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역할 규명 |
▶ 10월 05일 Young Scientist 1
좌장 | 프로필 | |
---|---|---|
![]() 문기환 |
주요 경력 | 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융합학부 해양생물공학·수산바이오공학 전공주임 교수 |
한국해양대학교 생물안전관리위원회 생물안전관리책임자 | ||
한국해양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위원장 | ||
연구 분야 |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어병세균의 유전자 발현 변화 연구 | |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어류 장내미생물 및 행동 변화 연구 | ||
항생제 내성균 제어 생리 활성 물질 발굴 연구 | ||
![]() 김기영 |
주요 경력 | 현)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유전학과 방문교수 | ||
식약처 식품위해평가 전문위원 | ||
연구 분야 | 골형성, 골다공증 | |
골과 비만의 연관성 | ||
환경독성인자의 면역교란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허효진 |
최종 학력 | 아주대학교 응용생명공학과 박사수료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한국식품영영과학회 제품개발경진대회 은상 | |
2022년 Journal of Ginseng Research 주저자 논문게재 | ||
2022년 Scientific reports 주저자 논문게재 | ||
2022년 대한화장품학회지 교신저자 논문게재 | ||
![]() 소피아 |
최종 학력 | 아주대학교 응용생명공학과 박사수료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2022년 한국생명과학회 우수발표상 | |
2022년 Journal of Ginseng Research 주저자 논문게재 | ||
2022년 Scientific Reports 주저자 논문게재 | ||
2022년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주저자 논문게재 | ||
2023년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주저자 논문게재 | ||
![]() 벨라 |
최종 학력 |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약리학 전공 박사과정(수료)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젬버대학교 생명공학 전공 석사 | |
인도네시아 비디크미시 국가 장학금 | ||
인도네시아 젬벨 대학교 대학 장학금 | ||
일본 히로시마 현립 대학 교환학생 | ||
제4회 일본 아시아 동종요법학회 국제학술대회 은상 | ||
![]() 강지윤 |
최종 학력 |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석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2019년 대전대학교 Poster-Day 공모전 (우수상) | |
2020년 대전대학교 Poster-Day 공모전 (장려상) | ||
2021년 대전대학교 Poster-Day 공모전 (우수아이디어상) | ||
2022년 대전대학교 Poster-Day 공모전 (특별상) | ||
2022년 학위수여대상자 연구실적 우수자 (우수연구상) |
초청연사 | 프로필 | |
---|---|---|
![]() 석혜연 |
최종 학력 | 부산대학교 생명시스템학과 이학박사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부산대학교 한국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센터 박사후연구원 | |
Frontiers in Plant Science Review editor | ||
2014, 2016, 2017, 2019, 2020, 2021 한국생명과학회 우수발표상 수상 | ||
2021 한국생명과학회 최우수포스터상 수상 | ||
2014, 2016, 2017, 2022 한국생명과학회 우수포스터상 수상 | ||
![]() 박범수 |
최종 학력 | 동의대학교 분자생물학과 학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
![]() 윤호영 |
최종 학력 | 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재학중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사)한국응용생명화학회 제2회 “Biodot Award” 수상 | |
2023년 경상국립대학교 젊은 개척 연구자 상 우수상 수상 | ||
2020년 경상국립대학교 젊은 개척 연구자 상 우수상 수상 | ||
Smart-P 특허 전용 실시권 이전 (이탈리아 Recover Ingredients 주식회사) | ||
㈜네이처텍 기술이전 (1억+3.5억+매출 1-3%) | ||
![]() 황승주 |
최종 학력 |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수료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2023 APNM 국제학술대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수상 | |
2022 대전대학교 동서생명과학연구원 포스터데이 우수아이디어상 수상 | ||
2021 대전대학교 동서생명과학연구원 포스터데이 우수상 수상 |
▶ 10월 05일 Young Scientist 2
좌장 | 프로필 | |
---|---|---|
![]() 문용환 |
주요 경력 | 현)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 교수 |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SA 박사후연구원, 방문교수 |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박사후연구원 | ||
연구 분야 | 식물 분자유전학 | |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반응 조절 기작 연구 | ||
환경 스트레스 내성 식물 개발 | ||
![]() 박창수 |
주요 경력 |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제약공학과 교수 |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연구교수 | ||
일본 카가와산업지원재단 Post-Doc. | ||
연구 분야 | 생물전환에 의한 희소당 생산 시스템 구축 | |
미생물 유래 유용 효소자원의 발굴 및 효소 특성 규명 | ||
미생물 유래 효소 유전체 확보 및 재조합 효소 생산 |
연사 | 프로필 | |
---|---|---|
![]() 윤용준 |
최종 학력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해양생물공학전공 이학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2023.0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영남지부 포스터 발표 | |
2022.08. 한국생명과학회 제64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2022.0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제49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2021.08. 한국생명과학회 30주년 기념, 제63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2021.0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제48회 정기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 박정우 |
최종 학력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해양생물공학전공 이학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영남지부 포스터 발표 (우수포스터상 수상) | |
2022.08. 한국생명과학회 제64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2022.0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제49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2021.08. 한국생명과학회 30주년 기념, 제63회 정기총회 및 국제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2021.0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제48회 정기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 ||
![]() 차나카 자유싱하 |
최종 학력 |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 석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생리 활성 추출물에 대한 국제 저널 출판물 | |
2020, 한국생명과학회 제62회 연차총회 및 국제학술대회에서 수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보건산업과 장수의학) | ||
2022 한국자원식물학회 추계학술대회 자원식물석사과 치유산업에서 구두 발표 우수상 | ||
KSMB 연차총회 및 심포지엄에서 발표, 2020 | ||
![]() 위스루무니 아라치칠라게 마두랑가 하시타 카루나라트네 |
최종 학력 |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 석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스리랑카 Ruhuna 대학 Biosystems Technology학과 부교수 | |
2022년 스리랑카 루후나 대학교 학술 세션에서 Most Outsatanding Young Researcher 수상 | ||
2021년 스리랑카 라자라타 대학교 국제 심포지엄 Best Oral Presenter 수상 | ||
최근 5년 SCIE급 18편 (제1저자 8건, 공동저자 10건) |
연사 | 프로필 | |
---|---|---|
![]() 이윤주 |
최종 학력 |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학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
![]() 한준혁 |
최종 학력 | 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 응용생명과학과 생명공학전공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
![]() Farooq Muhammad |
최종 학력 |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과 박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한국생명과학회 최우수포스터상 수상 | |
![]() 조현동 |
주요 경력 | 현)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조교수 |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약리학과 Post-Doc 역임 | ||
University of Arkansas, 식품과학과 방문연구원 | ||
연구 분야 |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노인성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 |
천연물 생리 활성 연구 (암, 혈관신생, 혈관누출, 염증) | ||
![]() 야스민악타문니 |
최종 학력 |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박사과정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치타공대학교 응용화학 및 화학공학 석사 | |
치타공대학교 응용화학 및 화학공학 학사 | ||
신경세포 성장 및 발달에서 식물 추출물 및 파이토케미컬의 효능 연구 | ||
단백질 응집체(IAPP) 제거에 작용하는 NAGK의 분자기전 연구 |
▶ 10월 05일 Young Scientist 3
좌장 | 프로필 | |
---|---|---|
![]() 송창우 |
주요 경력 | 현) 안전성평가연구소 책임연구원, 제7대 소장(2018~2021) |
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전임교수 | ||
오사카부립대학교 수의학부 Ph.D., 겸임연구원 | ||
연구 분야 | 현) 위장관 질환 모델 동물 개발 | |
흡입 및 중대동물을 활용한 효능 및 독성평가 | ||
스템셀,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효능 및 독성평가 | ||
![]() 전종록 |
주요 경력 | 현) 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부교수 |
과장, LG Chem Research Park, 2011 - 2015 | ||
공학박사, POSTECH, 2006 - 2011 | ||
연구 분야 | 천연 방향족 고분자 (휴믹 물질, 멜라닌, 리그닌 등) | |
환경 미생물학 | ||
생물전환 (Biotransformation) |
연사 | 프로필 | |
---|---|---|
![]() 미리사 해와게 두민두 카빈다 |
최종 학력 |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명과학과 석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현)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박사과정 | |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석사 졸업 | ||
University of Peradeniya 농학부 졸업 | ||
![]() 소바라트네 세넬 산자야 |
최종 학력 | University of Peradeniya 학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현)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석사과정 | |
university of Peradeniya 양식 농업 학부 졸업 | ||
![]() 김상진 |
최종 학력 |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박사수료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
![]() 김은경 |
최종 학력 |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과 박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한국생명과학회 최우수포스터상 수상 | |
한국생명과학회 우수발표상 수상 |
연사 | 프로필 | |
---|---|---|
![]() 송보림 |
최종 학력 |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식품생물공학 석사 졸업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2020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 |
2021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당뇨 연구 우수논문상 수상 | ||
2022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영남지부 학술대회 우수 초록상 수상 | ||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phagy(ISA) 초록 기제 | ||
지식재산융합인재양성사업 우수특허상 수상 | ||
![]() 김소희 |
최종 학력 |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학사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선문대학교 공로상 수여 | |
![]() 박하영 |
최종 학력 |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학사 |
수상 내역 및 관련 자격증 등 | 선문대학교 공로상 수여 | |
![]() 최호진 |
주요 경력 | 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Post-Doc |
현)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연구교수 | ||
연구 분야 | NAGK(N-acetyl-D-glucosamine kinase)의 기능 연구 | |
식물 유래 천연물 기반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 |
※ 학술대회 기간 동안 산청한방가족호텔의 숙박비를 할인가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 조식은 호텔로 개별 예약 가능. 김성현 지배인 (055) 972-7000
※ '산청세계전통의약항노화엑스포'(학술대회 기간중 동의보감촌 일원에서 개최 9.15~10.19)개최 기간으로 숙소가 없을 가능성이 있으니, 선착순으로 빠른 예약 부탁드립니다.
※ 카드영수증 및 계산서(학회에서 발급 가능), 객실 영수증(산청한방가족호텔에서 발급 가능)
※ 무통장 입금하신 분은 입금 다음날 처리됩니다.
※ 계산서가 필요하신 경우, 사업자등록증을 제출하시면 발행하여 드립니다.
※ 예약 취소에 따른 위약금 규정
구분 | 적용 규정 |
---|---|
사전등록일 전 취소 | 100% 환불 |
사전등록일 이후 취소 | 0% 환불 |
※ 객실 선택
객실종류 | 기본금액 | 할인금액 | 객실 | 비고 | 등록된 객실 / 총 객실 |
스탠다드 트윈 |
|
130,000 | 4인 1실(더블2) | 조식 불포함 | 35 / 35 |
스탠다드 한실 |
|
130,000 | 4인 1실(침구4) | 14 / 15 | |
스탠다드 트리플 |
|
125,000 | 3인 1실(싱글3) | 4 / 4 | |
디럭스 트윈 |
|
135,000 | 3인 1실(더블1, 싱글1) | 5 / 6 | |
콘도형 온돌 |
|
135,000 | 4인 1실(침구4) | 3 / 3 | |
콘도형 원베드룸 |
|
125,000 | 3인 1실(더블1, 침구2) | 12 / 12 | |
콘도형 투룸 |
|
195,000 | 6인 1실(더블1/온돌1 방별도) | 6 / 6 |
- 입 금 처 : 부산은행 264-13-000142-9 (한국생명과학회)
- 가급적 입금자명이 동일하게 송금 부탁드립니다.
※ 사전등록하신 분에 한하여, 아래 안내된 룸을 셰어하여 숙박을 원하시는 분은 학회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 연락처: ksls1991@daum.net
- 관련내용: 이름, 소속, 연락처, 인원수, 룸타입
객실 | 객실수 |
---|---|
단체실 25인 1실(침구25) | 2 |
기타 숙박 바로가기
2023산청세계전통의약항노화엑스포 (sancheong-expo.or.kr)
학술대회 기간 동안 아래 숙박비를 할인가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별예약)
![]() ○ 휴롬빌리지 ○ Tel : 82-10-2672-7411 ○ 경남 산청군 금서면 동의보감로 645-4 ○ 홈페이지: 휴롬빌리지 (huromville.com) ○ 예약서 양식 다운로드 |
객실유형 | 정상가 | 할인가 | 특별사항 | ||||||
트윈 | 130,000 | 100,000 | 기본 2인. 최대3인 | |||||||
한실 | 130,000 | 100,000 | 기본 2인. 최대3인 | |||||||
디럭스 | 320,000 | 260,000 | 기본8인. 최대10인 | |||||||
* 한국생명과학회 이름으로 예약시 할인가 적용 * 이재준 운영팀장: 82-10-2672-7411 * e-mail : leejj@hurom.com ㆍ 상기 요금은 2023년 10월 5일부터 10월 6일까지 유효 합니다. ▶기간 및 조건 ㆍ체크인: 15:00 이후 / 체크 아웃 : 11:00 이전 (체크아웃이 지연될 경우 추가 요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ㆍ고객이 호텔에 확정된 예약을 취소하기 원하시면, 7일 전까지 전화 통보를 하여야 합니다. ㆍ객실 예약의 취소는 7일 전까지 가능하며, NO SHOW 또는 6일 이내 객실 취소의 경우 위약금 부과됩니다. |
※ 기업체참가
참가 신청서 다운로드분 야 | 후 원 내 용 | 비 용 |
---|---|---|
지면광고 | 학술대회 초록집 내지 | 흑백 반면/500,000원 흑백1면/1,000,000원 컬러 반면/1,000,000원 컬러 1면/2,000,000원 |
배너광고 | 홈페이지 메인화면 www.jls.or.kr |
6개월/500,000원 1년/1,000,000원 1년 6개월/2,000,000원 2년/3,000,000원 |
업체 구인/구직 광고 | 1개월/100,000원 2개월/300,000원 |
|
런천세미나 | 기업체 설명 세미나 시간: 30분 |
점심식사 제공(도시락) |
기기전시 및 제품 홍보 | 2023년 10월 5~6일 산청한방가족호텔 |
1부스/1,000,000원 |
세미나 | 2023년 10월 5~6일 중 10~15분 기업체 설명 세미나 |
10~15분/1,000,000원 |
물품협찬 | (물품 내역: ) |
계좌정보 | 부산은행, 264-13-000142-9, 예금주: (사)한국생명과학회 |
---|---|
제출 및 문의처 | (사)한국생명과학회 사무국 Tel: 051-501-3553 Fax: 051-501-6900 Email: lifes2@jls.or.kr |